필라델피아 학교의 다양성과 문화적 이해 교육만으로 아시아인 증오 폭력을 막기에는 역부족하다

0

This article is the second of a series of nine stories which seeks to increase visibility and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Asian American communities in the Philadelphia region and their strengths, challenges and histories. Now more than ever, we must ensure Asian voices have a platform to speak out against the issues impacting our communities.
그 어느 때보다도 지금 우리 아시아인들은 우리 커뮤니티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대해 소리 내어 말할 수 있는 플랫폼이 절실한 때입니다. 이 기사는 필라델피아 지역의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역사 그리고 그들의 강점과 도전 과제 및 다양한 아시아계 미국인 커뮤니티의 이해와 목소리를 널리 알리기 위한 9가지 이야기 시리즈 중 그 두 번째 이야기입니다.

This series is developed by New Mainstream Press in partnership with the Philadelphia Chinatown Development Corporation and in consultation with Sojourner Consulting, with support from the Independence Public Media Foundation.
이 시리즈는 소저너 컨설팅(Sojourner Consulting)의 자문과 독립 공공 미디어 파운데이션(the Independence Public Media Foundation)의 지원을 받아 뉴 메인 스트림 프레스(New Mainstream Press)가 필라델피아 차이나타운 개발 공사(the Philadelphia Chinatown Development Corporation)와 함께 제작했습니다.

Reporter: Eleni Finkelstein
리포터: 엘레니 핀켈스타인
Editor: Bei Li, Alan Lu
에디터: 베이 리, 알란 루

Sara, a Central High School student, says anti-Asian bullying is nothing new to her. From a young age Sara would receive verbal microaggressions from her friends and peers about the shape of her eyes and the food her Chinese parents would pack her for lunch, which was vastly different from the hoagies and chicken patties her friends would get from the cafeteria.
센트럴 고등학교 학생인 사라(Sara)에게는 동양인이라는 이유로 괴롭힘을 당하는 일이 전혀 새로운 일이 아니다. 중국인 부모님을 가진 이 소녀는 친구들과 얼굴 생김새가 달랐고 그들이 먹는 샌드위치나 치킨 패티와 다른 음식을 먹을 수밖에 없었다. 사라에게는 자연스러운 이 모든 것들이 다른 친구들에겐 다름을 넘어선 놀림의 대상이 되곤 했다.

At the time, these comments were written off as gentle teasing or genuine curiosity. It didn’t occur to her until years later that these experiences were her first experiences of anti-Asian racism. With the rise of anti-Asian bias incidents and bullying stories that have taken over the Philadelphia media landscape, other students are also coming to terms with their own experiences. Many struggle to speak up about them.
당시 이러한 놀림과 차별은 단순한 놀림이라든지 호기심으로 치부되기 일쑤였다. 사라 또한 오랜 시간 동안 이러한 동양인 차별적 경험이 인종차별이라는 것을 전혀 인식하지 못했다. 최근 필라델피아 미디어의 뜨거운 주제로 떠오른 동양인 혐오에 대한 기사들과 그 기사들 속에 적혀져 있던 동양인에 대한 편견 그리고 괴롭힘에 대한 이야기가 증가하면서 점차 아이들은 자신이 경험한 차별이 그저 단순한 놀림은 넘어선 인종차별의 한 형태임을 깨닫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아시아인 학생들에겐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It takes a while for most students to come to terms…They’re used to Asian [stereotypes] of being quiet and being afraid to speak out. Even when they do speak out, teachers slide it under the rug,” the student shared. She is now involved in Asian American student life at school, and a youth intern at Asian Americans United (AAU), a non-profit which has been active in organizing youth around anti-Asian incidents in schools.
사라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신이 겪고 있는 일이 정확히 어떤 일인지 인지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아시아인 학생들은 조용하고 나서서 말하기를 꺼려 한다는 고정관념에 익숙해져 있죠. 그래서 동양인 학생이 용기 내어 자신의 상황을 이야기할 때에도 선생님들은 그저 방관하기도 합니다”라고 말한다.

그래서 사라는 현재 학교에서 아시아계 미국인 학생회에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반 아시아인 관련 사건을 주로 다루는 비영리 단체인 아시안 아메리칸 유나이티드(이하 AAU: Asian Americans United)에서 청소년 인턴으로 활동하고 있다.

Former public school teacher and AAU board member Helen Gym knows a thing or two when it comes to anti-Asian bias incidents in Philadelphia, especially within the School District of Philadelphia. Race-motivated bullying and harassment have plagued the school system for decades. Now a City Council Member at Large, Gym is determined to make the city a safer place for school children of all backgrounds.
전 공립학교 교사이자 AAU 이사로 활동 중인 헬렌 짐(Helen Gym)은 반 아시아인 편견 사건, 특히 필라델피아 학군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아주 잘 인식하고 있다. 인종차별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괴롭힘 사건들은 수십 년 동안 학교 시스템의 큰 문제로 대두되 오고 있다. 시의회를 총괄하는 헬렌 짐은 모든 인종의 아이들에게 더 안전한 도시를 만드는 데 그녀의 역량을 총동원하기로 마음먹었다.

시의회 의원 헬렌 짐-동양인 증오 범죄 중단 촉구 랠리 (Stop Asian Hate Rally) 사진 크레딧: 헬렌 짐

“I don’t think there’s any question that if you’re Asian American, this is a defining part of your life, and it doesn’t end after childhood.”
“당신이 아시아계 미국인이라면 동양인에 대한 차별은 학창 시절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며 우리 삶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This sentiment has proven true for Asian American communities across Philadelphia. The trend accelera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hich former President Trump and many other high-level politicians publicly labeled “the China virus.”
그녀의 발언은 필라델피아 전역의 아시아계 미국인 커뮤니티에서 분명한 사실로 입증되었다. 동양인 혐오 문제는 트럼프 전 대통령과 많은 고위 정치인들이 공개적으로 코로나19를 ‘중국 바이러스’라고 정의하면서 급격히 퍼져나갔다.

“Multiple people in extremely high offices are relentless in scapegoating Asian Americans…I was also shocked to see how little people pushed back,” said Gym about the amount of elected officials who blamed Chinese Americans and other Asian groups for the rise of Covid-19.
헬렌 짐은 많은 공직자들이 코로나19의 문제를 중국과 다른 아시안들을 향해 그 책임의 화살을 돌리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많은 고위 공직자들이 아시아계 미국인을 희생양으로 만들기 위해 여념이 없으며, 그러한 자신들의 행동을 굽히지 않는 그들의 모습에 저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Since March 2020, the FBI recorded 279 hate crimes against Asians alone in 2020, which was a 73% increase from previous years. Hate crimes as a whole, against any group, only rose 13%. Recent data by AAPI showed that Asian Americans and Pacific Islanders are the group least likely to report incidents of harassment. Whether this be due to language barriers or fear of backlash, it means the number of incidents both locally and nationally is likely much higher.
FBI는 2020년 3월 이후 한 해 동안 아시아인 혐오 범죄가 279건이 발생했다고 기록했으며, 이는 지난 해 보다 무려 73% 급증한 수치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특정 인종에 대한 증오 범죄는 전체적으로 13% 증가했다. AAPI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계 미국인들은 자신에게 일어난 인종차별 사건을 보고할 가능성이 가장 낮은 인종 그룹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떤 이유에서든지 이는 전국적으로 동양인 혐오 범죄 수가 훨씬 더 많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an incident which received media attention in November 2021, four teens were charged for a racially motivated attack on the Broad Street SEPTA Line, which was caught on camera. The attackers were yelling at and hitting a group of Asian students from Central High School when another Asian student, Christina Lu, stepped up to defend her peers. Lu suffered life-threatening wounds from the incident and is regarded as a hero for her bravery for defending her peers from the abuse.
2021년 11월 언론의 주목을 받은 한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은 필라델피아 지하철 브로드 스트리트 노선의 열차 안에서 10대 4명이 인종차별을 하며 한 동양인 학생을 폭행을 하는 장면이 카메라에 포착된 사건이다. 당시 현장에서 센트럴 고등학교의 아시아계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에게 구타를 당하며 공격을 당하고 있었으며, 이를 목격한 또 다른 아시아계 학생인 크리스티나 루(Christina Lu)가 상황을 저지하려다 다른 그룹의 학생들의 공격을 당했다. 당시 루는 생명이 위태로울 만큼의 부상을 입었었다. 불의에 맞서 싸운 루의 행동은 용감함과 영웅적 행위로 여겨지고 있다.

사진: 센트럴 고등학교 크리스티나 루가 펜실베니아 하원으로부터 용감한 학생 상을 수여받고 있다.
사진: 크리스티나 가족 제공

Yet Philadelphia public school students have been feeling the weight of anti-Asian attacks well before the Covid-19 pandemic. In 2009, South Philadelphia High School, more commonly known as Southern, experienced a violent act of anti-Asian hate when 30 Asian students were brutally attacked by their non-Asian classmates.
하지만 동양인 혐오 문제가 비단 어제오늘만의 일은 아니다. 필라델피아 공립학교 학생들 또한 팬데믹 이전부터 동양인 혐오 문제를 겪고 있었다. 2009년 사우스 필라델피아 고등학교에서는 30명의 아시아 학생들이 다른 인종의 학생들에게 폭행과 공격을 당한 사건이 발생해 큰 충격을 주기도 했다.

사우스 필라델피아 고등학교에서 한 아시아인 학생이 공격을 받아 다친 모습(2009)
사진: blog.angryasianman.com

As a result of the attack, about 50 students banded together to boycott their high school for 8 days. The incident became a matter of national attention, and the U.S. Supreme Court even ordered the district to hire a harassment consultant to facilitate district staff through racial trainings, which Gym said were aggressively pushed as part of the Supreme Court-ordered settlement. Efforts have become more relaxed in recent years, even though racial-based harassment and bullying has increased in scale.
이 사건 이후 약 50명의 학생들이 뭉쳐 사우스 필라델피아 고등학교를 보이콧하기도 했으며, 국가적 관심의 문제로 대두되었다. 미국 대법원은 해당 교육청에 인종 차별 교육을 통해 직원들의 인종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폭력 상담원을 고용하도록 명령했다. 대법원 명령의 일환으로 이 일은 신속하게 진행되었다고 헬렌 짐은 설명했다. 하지만 최근 인종 차별과 그에 따른 폭력이 증가함에 불구하고 이를 저지하거나 막기 위한 노력은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The city has launched various anti-bullying campaigns in recent years, as racial targeting and bullying have affected more than just the Asian Student population. A 2015 campaign, entitled “Champions of Change,” encouraged students to take a stand against bullying and create a more positive school environment in 25 participating schools across the city.
인종을 표적으로 하는 폭력과 괴롭힘이 아시아인 학생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한 인종에서 발생하자 시는 최근 몇 년 동안 다양한 폭력 방지 캠페인을 시작했다. 변화의 챔피언들(Champions of Change)이라는 문구로 시작한 2015년 캠페인은 도시 전역의 25개 참여 학교에서 학교 폭력에 반대하고 보다 긍정적인 학교 환경을 조성하도록 독려했다.

However, these campaigns have not made a permanent difference against racial bullying and harassment of student minorities in the School District of Philadelphia. Despite the pandemic-era spike in anti-Asian discrimination, there has been less focus on the school environment. Out of all the Asian American students who experienced bullying in the U.S., 54% have said it occured in the classroom. More locally-sourced data is not available at this time, likely due to the amount of cases reported and followed through on.
그러나 이 캠페인은 필라델피아 학군에서 인종적 따돌림 및 학교 폭력을 영구적으로 변화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팬데믹 시대에 동양인 혐오 범죄가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인 학생들을 위한 학교 환경에 대해 관심을 주는 이는 적었다. 미국에서 인종차별 폭력을 경험한 아시아계 미국인 학생 중 54%가 교실에서 괴롭힘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은 단위 지역의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보고되는 폭력 사건의 숫자가 적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One of the largest wins to come from the Southern High School advocacy was the development of the first district wide anti-bullying policy that aims to protect minors from harassment. Helen Gym was a part of the team who helped draft the school district’s first anti-bullying and harassment law Policy 248, which claims that the Philadelphia schools are to “provide a healthy, safe, positive learning climate for students in the schools.” Prior to this policy, there was no district policy which explicitly focused on students. There was also no clear definition of harassment, specifically a definition that included the threshold of harassment and bullying that youth would experience, which Gym claims policy makers argued over.
사우스 필라델피아 학교 사건으로 인한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는 소수의 학생들을 학교 폭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 최초의 교육청 주도 폭력 방지 정책의 개발이었다. 헬렌 짐(Helen Gym)은 필라델피아 교육청의 최초 폭력 방지법 정책 248 초 안을 작성한 팀의 일원이었다. 이 정책에 앞서 학생 안전에 중점을 둔 정책은 존재하지 않았었다. 헬렌 짐은 폭력에 대한 명확한 정의, 특히 어린 학생들이 경험하는 괴롭힘을 정의할 만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정책 입안자 사이에도 의견이 분분했었다 고 전했다.

사진: 필라델피아 교육청
사진제공: WHYY

The policy allows any guardian, student, or staff member to file a complaint. The district must respond and investigate the complaint accordingly in a timely manner, as well as provide translation services for the native language of both the victim and the perpetrator. The policy was adopted in 2010 and revised in 2018. The official definition of harassment, as quoted in the policy, is:
이 정책은 보호자, 학생뿐만 아니라 교직원도 학교 폭력을 신고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교육청은 폭력 신고에 바로 응답하고 조사를 실시해야 하며,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의 모국어 번역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 정책은 2010년 채택되어 2018년 수정되었다. 이 정책이 정의하는 폭력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Harassment shall consist of verbal, nonverbal, written, graphic or physical conduct relating to an individual’s sex, age, race, color, sexual orientation (known or perceived), gender identity expression (known or perceived), national origin/ethnicity, religion, disability,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socioeconomic status and/or political beliefs.”
“개인의 성별, 나이, 인종, 피부색, 성적 지향, 성 정체성, 출신 국가/민족, 종교, 장애, 영어 능력, 사회경제적 지위 및/또는 정치적 신념을 언어적, 비언어적, 서면, 그래픽 또는 물리적 행위 등의 방법으로 부정할 때 이를 폭력으로 정의한다.”

The policy includes explicit directions for how to report incidents of harassment to the schools and a Title IX Deputy Coordinator. Also included is a clear outline for the mandatory investigative process that accompanies each submission of harassment.
이 정책에는 학교 폭력 사건을 학교와 Title IX Deputy Coordinator(타이틀 IX 데퓨티 코올디네이터: 신고된 사건 조사를 담당하는 직책)에 보고하는 방법에 대한 정확한 지침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보고된 폭력 사건에 수반되는 필수 조사 절차에 대한 명확한 개요가 포함되어 있다.

Technically, there are various ways to contact the district about incidents of harassment and bullying, including an online portal, a hotline, and reporting to any adult staff member within the district. Policy 248 will also be up before the board this spring for renewal and will include simpler language to define racial based harassment and bullying.
실질적으로 괴롭힘 및 따돌림 등 폭력 사건은 온라인 포털, 핫라인을 통해 신고하거나 성인 직원에게 직접 보고 가능하다. 폭력 방지 정책 248은 이번 봄 갱신을 위해 이사회에 상정될 예정이며 인종 차별에 의한 폭력의 정의를 더 간단한 언어로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쓰일 예정이다.

However, the office of Student Rights and Responsibilities was unable to provide any data regarding the number of cases reported through these methods. Data on bullying disaggregated by ethnicity or English language fluency is also unavailable. As the primary student source for this article identifies as Chinese, many of the results we found reflected this experience.
그러나 학생 권리 및 책임 담당 부서는 위에 나열된 방법을 통해 보고된 폭력 사례 수에 대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인종 또는 영어 구사력으로 발생한 폭력에 대한 데이터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 기사에 나오는 학생들은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는 학생으로 우리가 찾은 많은 데이터 값은 중국계 학생의 경험을 반영한다.

The issue remains for students who are uncomfortable reporting incidents due to language barriers or accessibility, and students who are not aware of the policy in the first place. Sara, the student from Central High, says she and her peers were unaware of any way to submit a complaint about bullying and harassment besides notifying the school principal. It was not until the interview process for this piece that she learned about the various methods.
학교 폭력 사건들을 언어 장벽이나 접근성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신고하기를 꺼려 하는 학생과 애초에 폭력 방지 정책조차 알지 못하는 학생들은 여전히 문제의 중심에 놓여있다. 센트럴 고등학교 학생 사라는 본인뿐만 아니라 친구들이 학교 폭력 문제를 학교 교장에게 알리는 것 외에 다른 방법으로 신고할 수 있는 방법을 전혀 알지 못했다고 전했다. 사라는 이 기사를 위한 인터뷰 과정에서 학교 폭력을 신고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Even with these policies and resources in place, Asian targeting in schools is a problem that has not ended. Sara, who has grown up watching her peers and herself become victims to bullying, says that groups of non-Asian high school students will throw food on their Asian peers or spill urine from a water bottle onto them from above. Rather than one-off incidents, these are examples of daily realities of many Asian students’ experiences in schools.
이러한 폭력 방지 정책이 마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는 여전히 아시아인 학생을 표적으로 하는 폭력이 끊이질 않고 있다. 사라는 동양인이라는 이유로 자신이 왕따가 되는 것을 경험했으며 다른 인종의 학생들이 아시아계 학생들에게 음식을 던지거나 소변을 물병에 담아 그들에게 뿌리는 것을 목격하며 성장했다. 동양인 학생들이 겪는 이러한 폭력들은 단지 일회성 사건이 아니라 많은 아시아계 학생들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일상의 가혹한 현실이다.

Despite the resources present in the district as a result of Policy 248, most students are not aware of how to report these incidents, and find that the school administrations offer little support, often dismissing the incidents as students “just kids screwing around,” says Sara. Nonetheless, the students who want to seek support often face language barriers, according to Sara. This impacts students from finding trusted adults or administrators within the schools since they cannot communicate confidently with them.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are also faced at home, where parents and adult figures may also experience challenges advocating for their children. 10% of Philadelphians do not speak English fluently.
“폭력 방지 정책 248로 교육청 지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폭력 사건을 보고하는 방법을 모르고 있습니다. 또한 학교 행정부는 이러한 사건에 거의 지원을 하지 않거나 ‘학생들의 장난’으로 치부해버리고 사건을 일단락 시킵니다”라고 사라는 전했다. 이뿐만 아니라 학교 폭력으로 도움을 찾는 학생들은 종종 언어 장벽에 직면한다. 그 결과 학생들은 학교 내에서 신뢰할 수 있는 성인이나 직원을 찾는 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언어 및 문화적 장벽은 부모 및 성인 보호자도 직면해 자신의 자녀 및 학생들을 서포트 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필라델피아 주민의 10%는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못한다.

필라델피아 동양인 혐오 반대 랠리(2021년 11월 30일)
사진제공: 헬렌 짐

Over 14,000 students in the School District of Philadelphia are either not native English speakers or are part of a family that does not speak English as a primary language. Of this population, an undetermined amount of students and families are LEP, meaning they have limited English proficiency. In 2015, a lawsuit was filed against the school district for not translating documents or providing interpretation for families who requested it.
필라델피아 학군의 14,000명 이상의 학생들은 영어를 모국어로 구사하지 않거나 기본 언어로 사용하지 않는 가족의 일원이다. 이 중 얼마나 많은 가족들이 제한된 영어 능력을 가지고 있는 영어 미숙련자(LEP)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2015년 필라델피아 교육청은 번역되지 않은 문서나 통역을 제공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소송을 당했었다.

According to the Central High School student, one bilingual counselor is available in the building, and is only available part time as she services about 5 schools in the district. Official letters from the school are only sent home in English, leading to a gap in understanding of what transpires in their children’s school for LEP parents.
센트럴 고등학교 학생에 따르면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카운슬러가 학교에 있으나 그 카운슬러는 지역 내의 5개 학교에서 일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실제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이 제한적이다. 학교의 공식 통신문은 영어로만 집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영어가 능숙하지 않은 부모는 자녀의 학교에서 어떠한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

Educational professionals as well as students, parents, and anti-bullying advocates want to see more from the school board too, starting with the renewal and revision of Policy 248. Translation services for all spoken dialects within the schools also need to be taken to the next level, as empathy and culture cannot be taught if students are not given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lessons.
교육 전문가와 학생, 학부모 그리고 폭력 방지법 지지자들은 폭력 방지 정책 248의 개정을 시작으로 학교 학생들이 사용하는 모든 언어에 대한 번역 서비스도 학생들에게 제공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학생들에게 수업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으면 그들에게 공감하는 법과 문화를 가르칠 수 없기 때문이다.

Many believe promoting cultural understanding in schools is the solution to the targeted attacks and bullying of the public school population composed of minority students. Almost 100 languages and dialects are spoken in the public schools. Yet most cultures are not represented in the school curriculum.
많은 사람들은 학교에서 문화를 교육하고 학생들의 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키는 것이 소수 인종 학생들이 있는 공립학교에서 발생하는 인종적 표적 공격과 폭력에 대한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약 100개의 언어와 방언이 공립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화는 학교 커리큘럼에 반영되지 않고 있다.

“Schools are common meeting grounds that may not exist in other spaces. Communities come together sometimes for the very first time…” says Helen Gym. “It also means that we have to be ultra responsible for teaching young people…diversity is not just to be tolerated but celebrated.”
“각 지역 사회가 때때로 함께 뭉치기도 하지만, 학교는 어디서도 찾기 힘든 모든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입니다. 이 말은 우리가 어린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에 극도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양성은 수용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축하받아야 할 일입니다.”라고 헬렌 짐은 말한다.

This year, the Philadelphia School District closed for Lunar New Year for the first time, in an attempt to fight back against anti-Asian hate attacks and to stand in solidarity with Asian Americans in Philadelphia, which make up 7% of the student population of the District. Many schools included cultural lessons about the holiday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올해 필라델피아 교육청은 아시아인 혐오 공격에 맞서고 전체 학생의 7%를 차지하는 아시아계 학생들과 연대하기 위해 처음으로 설날 휴교를 결정했다. 많은 학교에서 타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설날에 대한 내용을 문화 수업에 포함하고 있다.

2020년 필라델피아 차이나타운에서 열린 설날 축하 행사
사진: 인콰이어러(Inquirer)

In New Jersey, Governor Phil Murphy signed a bill to recognize Asian American and Pacific Islander history in the state’s K-12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passing of this bill also establishes a Commission for Asian American Heritage within New Jersey’s Department of Education.
필 머피(Phil Murphy) 뉴저지 주지사는 K-12 사회 교과 과정에 아시아-태평양계 미국인의 역사를 포함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이 법안의 통과로 뉴저지 교육부는 아시아계 미국인 문화유산 위원회를 설립해야 한다.

We spoke with Rachel Holzman and Andrea Price from the School District of Philadelphia’s Office of Student Rights and Responsibilities. While they acknowledge racial-based bullying and harassment is a problem, they note that in recent years Philly schools have increased peer to peer, and peer-to-staff communication, meaning facilitating relationships of trust and respec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필라델피아 교육청의 학생 권리 및 책임 부서의 레이첼 홀즈맨(Rachel Holzman)과 안드리아 프라이스(Andrea Price)와 함께 나눈 대화에서 그들은 인종 차별로 인한 왕따와 폭력이 현존하는 문제라는 것을 인정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필라델피아 학교들은 학생과 교직원을 포함한 학교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증가시켰으며 이를 통해 학생과 교사 간의 신뢰와 존중의 관계를 구축하고 있고 전했다.

The Philadelphia school district and the Office of Student Rights and Responsibilities push for a “relationship first” tactic to try and further bonding between different cultural and social groups in schools. It is thought that problems like bullying and harassment are reduced when a feeling of empathy is shared throughout the school building. According to these district professionals, the best prevention is to create “a warm and welcoming climate where adults and children, and children and children have relationships.”
필라델피아 교육청과 학생 권리 및 책임 부서는 학교 내 다양한 문화 및 사회 집단 간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인간관계 우선(relationship first)”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학교에서 공감의 문화가 자리를 잡을 때 왕따 및 학교 폭력 문제가 감소할 것이라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 전문가들은 성인과 어린이 그리고 어린이와 어린이들이 사이에서 실제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는 따뜻하고 환영하는 분위기가 학교 폭력 및 왕따 문제에 가장 좋은 예방책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Empathy and cultural lessons are only the beginning to bridging the divide in schools among groups of students as the bullying and harassment that takes place within the School District of Philadelphia has become a systemic problem rooted in the lack of policy.
공감과 문화 수업은 폭력 방지 정책의 부재 속에서 뿌리를 내린 고질적 왕따 및 폭력 문제 그리고 학생들 사이에 존재하는 분열을 해결하기 위한 그 첫걸음에 불과하다.

“It goes beyond your cultural differences. We have a history of America being built on racist institutions. We have our police system, we have our prison system, that throughout their existence has been [pitting] our communities of color against each other,” says Sara.
“우리가 가진 오늘의 문제는 문화적 차이를 넘어선 문제입니다. 우리는 인종 차별적인 제도 위에 세워진 미국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들에는 경찰 시스템과 감옥 시스템이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이러한 차별적 시스템은 유색인종 지역 사회를 분열 조장 해왔습니다.”라고 사라는 말한다.

She and other advocates believe that anti-racism and anti-bias lessons are also needed to crush the stereotypes that students mimic from their after-school environments, whether that be from home or social circles. Youth emulate their atmosphere, so what they see and hear outside of the classroom is internalized before they even show up to school.
사라와 지지 단체들은 학생들이 방과 후 환경에서 배우고 모방할 수 있는 문화적 고정관념을 부수기 위한 반인종주의 및 반편견 교육이 필요하다고 믿는다. 어린 학생들은 자신이 속한 환경의 분위기를 그대로 모방하기 때문에 교실 밖에서 보고 듣는 것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내면화된다.

The responsibility for these changes falls not just to the district officials, but to the individuals themselves to learn anti-racist behaviors and educate themselves on Asian American issues. Sara says she is one of many students trying to spread the message that it is not the responsibility of the oppressed and the minority to educate others. “It’s not my job to explain to my peers who I am. I’m not there to serve as their education. I can play a role in teaching them but that’s something they should be searching out on their own.”
이러한 것들을 교육하는 책임은 비단 지역 교육청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 자신 스스로 반인종주의적 행동에 대해 배우고 아시아계 미국인이 겪는 문제에 대해 알아 나가야 할 것이다. 사라는 인종적 문제를 가르치고 교육하는 일은 억압받는 소수 인종의 책임이 아니라고 소리 내어 말한다. 그녀는 “타인에게 내가 누구인지 설명하는 것과 교육하는 일은 나의 일이 아닙니다. 나는 누군가를 가르치는 역할을 할 수는 있지만 배우는 일은 그들이 스스로 찾아야 할 부분입니다”라고 전했다.

Grace Fan, who serves as the Youth Programming Coordinator for Asian Americans United (AAU) agrees with the sentiment that cultural teachings are important, but are not enough to solve the issues at hand in the school district. “How do we see Asian students and build an environment where Asian students can feel whole and safe in the school district?”
아시아계 미국인 연합(이하 AAU: Asian Americans United)에서 청소년 프로그래밍 코디네이터로 활동하고 있는 그레이스 팬(Grace Fan)은 문화적 교육이 중요하지만 지금 학교들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의견에 동의한다. “우리는 어떻게 아시아 학생들을 바라보고 그들이 학교에서 온전히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할까요?”

AUU 멤버들이 마스크와 장갑을 나눠주고 있다.
사진제공:nonprofitlawllc.com

Fan and AAU contribute to the cause by providing youth-focused programs for the Asian and immigrant communities in Philly. They are working hard to empower Asian American youth to feel comfortable advocating for themselves and their peers, and taking ownership in their cultural experiences.
그레이스 팬과 AAU는 필라델피아의 아시아인 및 이민자 커뮤니티의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학교들이 직면한 문제에 현실적으로 다가간다. 그들은 아시아계 청소년들 자신 스스로와 친구들을 당당하게 옹호하고 자신들의 문화적 경험의 주인이 될 수 있는 힘을 실어주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Cultural awareness of Asian American history and other minority groups is a big step forward for the Philadelphia school district, the same district that was the first to integrate African American history into its curriculum. Yet much more needs to be done on a systemic level to create educational environments that feel safe.
아프리카계 미국인 역사를 교과 과정에 최초로 통합한 필라델피아 교육청의 아시아계 미국인 역사와 다른 소수 집단에 대한 문화적 인식은 필라델피아 학군의 장족의 발전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모든 학생들이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일들이 체계적인 수준에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Like Council member Gym says, “Our city and school district embraces the entire world,” and the district is better equipped when they meet those language and cultural needs of all students.
시의회 의원 헬렌 짐이 말한 것과 같이 “우리 도시와 전체 학군은 전 세계를 포용합니다”. 그리고 모든 학생들의 언어와 문화적 포용이 이뤄질 때 더 나은 학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out the article, the author uses the pseudonym “Sara” to respect the source’s request for anonymity.
*글 전체에 익명을 요청하는 인터뷰이의 요청에 따라 사라(Sara)라는 가명이 사용되었습니다.

This is Part I of a two-part article on anti-Asian bullying in the Philadelphia School District. Part II will focus on the renewal and challenges of Policy 248。
이 글을 필라델피아 학군의 아시아인 혐오 폭력에 관한 2부작 기사의 1부로, 2부에서는 정책 248의 갱신과 도전에 초점을 맞출 예정입니다.

If you or someone you know would like to submit a harassment report to the Philadelphia School District, you can do so by one of the following methods:
필라델피아 학교에서 발생하고 있는 학교 폭력 신고는 다음의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 할 수 있습니다:

1,Complete the online Bullying, Harassment/Discrimination Reporting form;
2,Call the Bullying/Harassment hotline at 215-400-SAFE;
3,Submit a complaint via Safe2Say;
4,Email the Compliance Officer/Title IX Coordinator directly at antiharassment@philasd.org;
5,Report the incident to the building principal or designee, or to any other member of the school staff, including teachers, guidance counselors, bilingual counseling assistants (BCAs), coaches, and administrators.

1. 온라인 폭력 신고 양식을 작성 제출 (신고 양식 클릭)
2. 핫라인 215-400-SAFE로 신고
3, Safe2Say를 통해 신고 (다운로드 클릭)
4. 규정 준수 책임자/Title IX 코디네이터에게 직접 antiharassment@philasd.org로 이메일 발송
5. 교사, 지도 상담사, 이중 언어 상담 보조원(BCA), 코치 및 관리자를 포함하여 교장 또는 교직원의 다른 구성원에게 사건을 보고

A report may be made at any time, including during non business hours.
모든 신고 접수는 업무 외 시간을 포함하여 언제든지 할 수 있습니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